본문 바로가기

적산이야기/1. 가설공사

쌍줄비계/외줄비계 산출하기

건축공사에서 높은 곳의 구조 또는 마감 작업을 하기위해 설치하는 비계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비계의 재료에 따라서는 강관파이프를 이용하는 강관비계와 나무를 이용하는 나무비계가 있어요.

예전에는 나무로된 나무비계를 사용했었지만 지금은 찾아보기조차 어렵지요. 지금은 강관비계를 사용한답니다.

 

 

설치모양에 따라서는 외줄비계와 쌍줄비계가 있는데,

외줄비계는 말 그대로 한 줄로 세워지는 형태고 쌍줄비계는 두 줄로 세워지는 형태입니다. 

 

 

 

 

자, 그럼 이 비계들을 내역에 반영할 수 있도록 수량산출을 해 볼까요. 외부강관쌍줄비계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쌍줄비계설치 면적=길이x높이  [ A = L x H ]

 

A=비계설치 면적 (M2)

L=건물외벽 둘레길이+0.9M*8EA (M)

H=설치 높이 (M) : GL~파라펫상단+1.0M

 

이해가 잘 안된다면 아래 그림을 봅니다.

그림은 평면상에서 본 비계설치 위치 입니다. 즉, 둘레길이값이 되겠죠.

건물외벽에서 0.9M 후퇴한 선을 기준으로 잡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코너부분 네군데에서 0.9M씩 두곳이 추가된다는 점입니다. 즉 0.9M*8EA가 추가됩니다. . 직사각형 건물이든 요철이 있는 형태의 건물이든지 모두 다 공통적으로 8EA가 추가됩니다.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될 거에요

 

 

 


위치에 따른 구분은 내부용, 외부용, 옥탑용, 지하외벽용 등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용도에 따라서는 구조용과 마감용으로 구분할 수 있겠는데요, 여기서 주의할 점은 구조용으로 사용한 후 해체하고나서 마감용으로 다시 똑 같은 위치에 비계를 설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용으로 사용후 해체하지 않고 마감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니 조금은 신경이 쓰입니다.

당연히, 해체하지 않고 구조용과 마감용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복하여 산출하지 않아야 겠지요.

  

 

[ 마감용 쌍줄비계_아파트 저층부 외벽 석재마감용 ]  

 


지금까지 가설공사에서 꼭 필요한 비계공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비계공사는 도면에 표기되지도 않고, 현장마다 다르게 설치되기 때문에 물량산출이 쉽지가 않습니다. 많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적정물량을 산정하는 지혜가 필요하답니다~~

 


  


코네스빔(CONESBIM)

 물량산출 / 일위대가 내역작성 / 공사비산정 / 건축적산 / BIM

문의  :  02-837-7798

메일 : conesbim@naver.com